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12개 제약사에 대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신약 개발 관련 포스팅 수를 분석했다고 11일 밝혔다. 그는 "한미약품은 항암제, 당뇨병 치료제, 고혈압 치료제 등이 주요 제품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혁신 항암제인 포지오티닙을 통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어 큰 주목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달 봄***라는 티스토리의 또다른 유저는 "국내 제약사 한미약품과 HK이노엔이 비만 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선두주자격인 한미약품은 GLP-1 유사체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2025년 바이오 산업에서 주목해야 할 기업으로 유한양행을 꼽으며, 유안양행의 렉라자가 국내 제약 바이오와 신약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생물정보학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전략을 통해 EZH1/2 이중 저해제의 개발 과정에서 약물 반응성 예측 및 적합 환자 선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현재까지 EZH1/2 억제제의 반응성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 SWI/SNF 복합체 구성 단백질의 기능 상실 돌연변이가 사용돼 왔으나, 불완전한 예측력 등 한계로 대안적 바이오마커 탐색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유전자 발현 기반의 한미 바이오마커 예측력은 다양한 전임상 종양 모델에서 검증됐으며, 특히 폐암과 난소암, 식도암을 포함한 여러 암종에서 HM97662의 항종양 활성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HM97662는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기반의 기존 접근법을 넘어 특정 유전자 변이를 가진 암 환자뿐만 아니라 특정 유전자 발현 패턴을 보이는 환자군까지 정밀하게 타겟팅할 수 있는 차세대 혁신신약"이라며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HM97662의 정밀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확립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