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삼성화재>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휴가철 차량 단독사고 특성 및 안전 대책'을 발표하고, 여름철에 집중되는 단독사고의 치명적 위험성과 이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 대책의 필요성을 제기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소가 경찰청의 최근 5년(2020~2024년)간 차량 단독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단독사고는 전체 사고 발생건수의 평균 4.1%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점유율은 무려 23.6%로 사고 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독사고의 치사율은 전체 교통사고 평균(1.4%) 대비 약 5.8배 높은 7.9%로 분석돼,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여름 휴가철, 단독사고 사망자 28.8% 집중 발생
여름철 휴가가 집중되는 6~8월 동안 단독사고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해당 기간 발생한 사고건수는 전체 단독사고의 28.1%(11,511건), 사망자수는 28.8%(935명)를 차지했다. 월별로는 8월(10.1%)과 6월(9.6%)에 사망자가 가장 많았다.
특히 교통 환경이 취약한 시외부 도로에서의 위험성이 두드러졌다. 군도와 지방도에서 발생한 단독사고의 치사율은 각각 12.4%, 11.0%로 단독사고 평균보다 높았으며, 사망자 점유율도 군도 38.6%, 지방도 31.0%로 집중됐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도로 안전시설의 유무에 따라 사고 치명률이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도 강조했다. 중앙분리대 및 보차분리시설이 설치된 도로의 치사율은 5.4%로, 안전시설이 없는 도로의 치사율(9.9%) 대비 46% 감소 효과를 보였다.
▷ 도로 안전시설 확충·운전자 휴식 등 실질적 대책 필요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단독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장거리 운전 중 발생하는 전방 주시 태만, 졸음운전 등 운전자 부주의를 지목하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도로 환경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사고 위험이 높은 시외부 도로 구간을 중심으로 △럼블스트립, 경광등 등 주의 환기 시설 설치 △길어깨 구간 확보 및 방호울타리 확충 △충격흡수형 도로공작물 설치 등 실효성 있는 안전장치 보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이성렬 수석연구원은 “단독사고는 대부분 운전자 부주의에서 비롯되지만, 도로 설계 및 안전시설 강화로 사고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공작물 충돌이나 도로 이탈 위험이 높은 구간에서는 사고유형에 맞춘 맞춤형 시설이 필요하고, 운전자 역시 차량 점검과 더불어 충분한 휴식, 교대 운전 등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