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8일까지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 KCC는 전기차 및 산업용 등의 고전력 반도체 패키지 및 모듈에 적합한 세라믹 기판, EMC, 방열 실리콘 등 핵심 소재를 선보이며 글로벌 고객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번 전시에는 KCC의 자회사이자 세계 3대 실리콘 소재 기업 중 하나인 모멘티브(Momentive)도 함께 참가해 기술 시너지를 극대화했다. 양사는 고전력 반도체 및 파워모듈(Power Module)에 적용 가능한 세라믹 기판 및 EMC 소재와 실리콘 소재를 통합해, 반도체 패키지를 위한 토털 솔루션(Total Solution) 공급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KCC는 자사의 반도체 소재와 모멘티브의 실리콘 기술을 결합한 융합형 토털 솔루션을 글로벌 무대에 본격적으로 선보이며, 반도체 산업의 첨단 소재 수요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이에 KCC는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춰 ▲'에폭시 소재로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극대화해 자동화 장비의 빈번한 이동에도 초기 외관을 오래 유지시키는 '스마트 E' ▲시공과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다양한 패턴 연출이 가능한 타일형 마감 시스템 '스마트 T'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로 초고강도의 기계적 물성을 구현하는 '스마트 C' ▲콘크리트 표면을 직접 강화하는 하드너 바닥재 시스템 '스마트 H' 등 4종의 스마트 시리즈를 소개한다. 이와 함께 KCC는 AI와 AMR 기술을 결합한 자율주행 도장 로봇 '스마트캔버스'도 전시한다. 스마트캔버스는 수평면 도장 작업을 자동화한 첨단 로봇으로, 라이다(Lidar)기반의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해 도장 공간을 정밀하게 인식하고, 장애물이나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이 정밀한 주행과 도장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작업 조건을 설정하면, 스마트캔버스는 첨단 센싱 장치를 활용해 도장 작업을 스스로 수행하며, 도장 품질과 작업 안전성을 크게 높인다.
최근 고급스러운 메탈릭 및 펄 계열의 자동차 컬러가 주류를 이루면서 보수용 페인트 시장에서도 보다 정확한 메탈릭/펄 색상 구현에 대한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게 된 것. 또, 색상뿐만 아니라 입자 간 차이를 수치화한 델타T(ΔT) 지표를 도입하고 입자 크기나 질감의 차이까지 반영하는 AI 색상 매칭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메탈릭/펄 색상까지 정밀하게 구현 가능한 배합비 산출이 가능해졌다. 또한, '칼라나비플러스'에는 자동차 보수 페인트 조색 작업 시 필수적으로 수반되야 하는 정밀 보정 과정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색차값과 입자값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능이 탑재됐다. 따라서 실제 조색을 진행할 때는 칼라나비플러스로 최초 도출된 배합비를 바탕으로 '조색='테스트 도장='색상 차이 확인='차이 분석 및 정밀 보정'을 수 차례 반복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AI 자동 보정 기술이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확한 색상을 만들어 내는데 큰 역할을 담당한다.
지난 3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국토교통부 이상주 실장, 지방시대위원회 곽기형 과장, KCC 백승근 수석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2025년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정부와 공공기관, 비영리단체, 민간기업이 협력해 도시 내 취약지역과 저소득층의 주거 환경 및 생활인프라를 개선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경북 영주, 봉화, 강원도 삼척 지역 등에서 총 203세대를 개보수 하는데 힘을 보탰던 KCC는 올해도 총 2억 원 상당의 건축자재를 지원해 200호 내외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을 진행할 계획이다. 올해 KCC가 지원하는 건축자재는 고효율 창호로, 주택의 단열 성능을 개선해 에너지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