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신탁운용은 중국 적격외국인기관투자자(QFII) 라이센스를 보유하고 있어 합성형이 아닌 현물형으로 ACE 중국과창판STAR50 ETF를 운용할 수 있다. 국내 상장 과창판 ETF 중 합성형이 아닌 직접 운용 상품은 ACE 중국과창판STAR50 ETF가 유일하다.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완화된 점, 중국 정부가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등 핵심 기술기업 성장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 또한 지수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남용수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운용본부장은 "중국 증시의 상승 모멘텀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며 "특히 과창판은 중국 정부의 국가 전략산업 육성 핵심 플랫폼으로서 정책 지원을 지속할 경우 대규모 투자와 제도 개선이 맞물려 구조적 상승을 이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한국투자글로벌우주기술&방산 펀드가 최근 1년 기준 동일 유형 펀드 중 가장 우수한 성과를 기록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한국투자글로벌우주기술&방산 펀드는 지난 2023년 4월 설정한 펀드로, 전 세계 우주 산업 주도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김 책임은 "한국투자글로벌우주기술&방산 펀드 설정 초기부터 우주 산업 분야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기업을 발굴해 투자한 것이 성과로 연결된 것 같다"며 "이러한 종목들을 초기에 발굴할 수 있었던 이유는 NASA 등 관련 기관으로부터 공신력 있는 데이터를 잘 활용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따른 위성 데이터 수요 증가, 미국 골든돔 프로젝트와 유럽 방위비 확대 등 지정학적 이슈를 고려하면 우주 산업은 구조적 수혜가 전망된다"며 "한국투자글로벌우주기술&방산 펀드는 우주 산업 성장세를 누리고 싶은 장기 투자자에게 좋은 투자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23년 3월 상장한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ETF 또한 상장 이후 35거래일 연속 개인투자자 순매수가 지속된 바 있다. 미국 30년물의 높은 변동성은 부담스럽지만 미국 국채에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를 위해 출시됐다. 환 방향성과 무관하게 미국 장기 국채에 투자하고 싶다면 ACE 미국10년국채액티브(H) ETF를, 미국 국채와 달러에 함께 투자하고 싶다면 ACE 미국10년국채액티브 ETF를 선택하면 된다. 최은영 한국투자신탁운용 해외FI운용부 수석은 "ACE ETF는 6종의 라인업을 통해 다양한 미국 국채 투자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며 "향후 장기 금리 하락 시 자본차익을 기대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받고 싶다면 ACE 미국10년국채 ETF 시리즈를, 장기 금리 하락 시 10년물보다 더 큰 자본차익을 추구한다면 ACE 미국30년국채 ETF 시리즈를 선택하면 된다"고 말했다.
김 책임은 '한국투자차이나AI빅테크플러스 펀드'와 '한국투자그레이터차이나 펀드'를 비롯한 한국투자신탁운용의 중국 펀드 운용을 담당하고 있다. 김 책임은 세미나를 통해 중국 빅테크 관련 분석을 전한다. 김 책임은 "중국 빅테크 기업이 가진 경쟁력과 중국 정부 정책의 효과 등이 궁금한 투자자들을 위해 마련된 세미나"라며 "현재까지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보인 성장세는 물론이고 향후 전망까지 모두 확인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책임은 "빅테크 주도주가 형성된 미국과 달리 중국은 주도주 변화가 있는 편"이라며 "중국 현지에서 시장 상황을 빠르게 반영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를 당사 펀드 성과와 함께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
Copyright © 2025 eCARDNEWS.com. All right reserved.